News Letter / 회원동정
최민재 회원 (동국대학교),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선정

우리 학회의 내실화와 신규회원 확대를 위한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에서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최민재 부교수가 8월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최민재 교수는 단적외선(SWIR) 영역에서 고감도 광센서 구현을 위한 소재 혁신과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기존 실리콘 기반 센서가 밴드갭 한계로 인해 장파장 광 검출에 제약을 받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적외선 파장대에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점 소재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성능 광세선 소자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1000-1700 nm 영역에서 뛰어난 흡광성과 정밀한 밴드갭 조절이 가능한 양자점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양자 통신, 산업용 모니터링 등 차세대 적외선 센서 응용에 적합한 혁신적 소재-소자 통합 플랫폼을 제시한다. 특히 InGaAs 등 기존고비용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과 함께, 저비용·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민재 교수는 양자점의 구조적·광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실리콘 호환성을 갖춘 소자 구조로 통합함으로써, 단적외선 센서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은 차세대 신진연구자를 격려 및 발굴하기 위해 매월 선정하여, 선정된 신진연구자께는 선정 당해 포함 2년간 회비 지원, 회비면제 기간 중 춘/추계학술대회 등록비 지원,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현판 제공 등을 통해 학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학회를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최민재 회원 (동국대학교),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선정

우리 학회의 내실화와 신규회원 확대를 위한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에서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최민재 부교수가 8월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최민재 교수는 단적외선(SWIR) 영역에서 고감도 광센서 구현을 위한 소재 혁신과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기존 실리콘 기반 센서가 밴드갭 한계로 인해 장파장 광 검출에 제약을 받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적외선 파장대에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점 소재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성능 광세선 소자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1000-1700 nm 영역에서 뛰어난 흡광성과 정밀한 밴드갭 조절이 가능한 양자점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양자 통신, 산업용 모니터링 등 차세대 적외선 센서 응용에 적합한 혁신적 소재-소자 통합 플랫폼을 제시한다. 특히 InGaAs 등 기존고비용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과 함께, 저비용·대면적 공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민재 교수는 양자점의 구조적·광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실리콘 호환성을 갖춘 소자 구조로 통합함으로써, 단적외선 센서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은 차세대 신진연구자를 격려 및 발굴하기 위해 매월 선정하여, 선정된 신진연구자께는 선정 당해 포함 2년간 회비 지원, 회비면제 기간 중 춘/추계학술대회 등록비 지원,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현판 제공 등을 통해 학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학회를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