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Letter / 공지사항
집합조직 프로그램 확산사업 워크숍 19 개최 안내 (2.20-21)
대한금속·재료학회 집합조직분과에서는 집합조직과 미세조직의 측정·분석 및 해석에 관한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확산사업 워크숍과 전문가 워크숍을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의 일환으로 2025년도 2월에는 집합조직 프로그램 확산사업 19차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집합조직과 미세조직 해석의 기본에 충실하도록 내용과 시간을 배치하였고,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DIC기반 in-situ 미세조직 해석에 대한 강좌들을 마련하였습니다. 집합조직과 미세조직의 이해와 해석 방법에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9차 확산사업 워크숍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집합조직의 기본 개념 (결정방위, 오일러공간, 극점도, 방위분포함수 등)
- 매크로 집합조직의 측정과 해석 (XRD, Synchrotron, Neutron등)
- 마이크로 집합조직의 측정, 해석 및 시편전처리기술 (EBSD, TKD, ASTAR 등)
- EBSD 기반의 재료 미세조직 분석 (도금층)
- EBSD 데이터 기반의 재료 물성 해석 (수소취성)
- DIC 기반의 in-situ 미세조직 거동 해석
- 집합조직 해석프로그램 활용실습 (TSL OIM))
- 날짜: 2025년 2월 20일(목)~21일(금)
- 장소: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관 566호 대강당
- 정원: 80명 (선착순 접수)
- 교육내용: 집합조직의 기초와 측정 및 응용
- 강사: 박노진(금오공대), 정효태(강릉원주대), 최시훈(순천대), 조재형(KIMS), 강전연(KIMS), 강주희(Wavesense),
전태성(인천대), 김정한(동아대), 손석수(고려대), 김민기(KITECH), 이민수(KITECH), 이명재(TSL) - 등록비: 일반 300,000원/학생 200,000원
- 신청 안내: 선착순으로 마감되었습니다.
- 주최: 대한금속·재료학회 집합조직분과
- 문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홍원표 연구원 (02-958-6807, lenhong@kist.re.kr)
인천대학교 최다인 연구원 (010-2912-0929, chlekdls0929@inu.ac.kr)
대한금속·재료학회 권은경 사원 (02-557-1071, metal@kim.or.kr)
프로그램
2월 20일(목) | ||
---|---|---|
09:30 ~ 10:00 | 등록 | 운영자 |
10:00 ~ 11:10 | 방위와 집합조직 | 조재형 |
11:10 ~ 12:20 | 매크로 집합조직 측정 (XRD, Neutron, Synchrotron) |
박노진 |
12:20 ~ 13:00 | 점심식사 | |
13:00 ~ 14:10 | 매크로 집합조직 해석 | 정효태 |
14:10 ~ 15:20 | 마이크로 집합조직 측정 | 김동익 |
15:20 ~ 15:40 | 휴식 | |
15:40 ~ 16:50 | 마이크로 집합조직 해석 | 강전연 |
16:50 ~ 18:00 | 마이크로 집합조직 응용 | 최시훈 |
18:00 ~ 18:30 | 패널 토론 | 박노진, 최시훈, 정효태, 조재형, 김동익, 강전연 |
18:30 ~ | 저녁 | |
2월 21일(금) | ||
09:10 ~ 10:20 | EBSD 시편전처리 | 강주희 |
10:20 ~ 11:30 | HR-EBSD 활용 | 전태성 |
11:30 ~ 12:50 | Luncheon Seminar (TSL OIM 프로그램 교육) | |
12:50 ~ 14:00 | 기능성 및 반도체 도금소재의 미세조직 | 김정한 |
14:00 ~ 15:10 | SEM-EBSD를 이용한 수소취성의 미시적-거시적 이해 | 손석수 |
15:10 ~ 15:25 | 휴식 | |
15:25 ~ 16:35 | DIC 기반 물성 측정 및 특성화 | 김민기 |
16:35 ~ 17:45 | DIC의 극한환경 및 멀티스케일 활용 | 이민수 |
17:45 ~ 18:15 | 패널 토론 | 강주희, 전태성, 김정한, 손석수, 김민기, 이민수, 김동익 |
찾아오시는길

- 자차 이용시: 공학관 옆 하나스퀘어 지하주차장 주차
- 지하철 이용시: 6호선 안암역 4번 출구에서 도보로 약 10분
- 더 자세한 사항은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참조
2025년 2월호
집합조직 프로그램 확산사업 워크숍 19 개최 안내 (2.20-21)
대한금속·재료학회 집합조직분과에서는 집합조직과 미세조직의 측정·분석 및 해석에 관한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확산사업 워크숍과 전문가 워크숍을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의 일환으로 2025년도 2월에는 집합조직 프로그램 확산사업 19차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집합조직과 미세조직 해석의 기본에 충실하도록 내용과 시간을 배치하였고,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DIC기반 in-situ 미세조직 해석에 대한 강좌들을 마련하였습니다. 집합조직과 미세조직의 이해와 해석 방법에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9차 확산사업 워크숍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집합조직의 기본 개념 (결정방위, 오일러공간, 극점도, 방위분포함수 등)
- 매크로 집합조직의 측정과 해석 (XRD, Synchrotron, Neutron등)
- 마이크로 집합조직의 측정, 해석 및 시편전처리기술 (EBSD, TKD, ASTAR 등)
- EBSD 기반의 재료 미세조직 분석 (도금층)
- EBSD 데이터 기반의 재료 물성 해석 (수소취성)
- DIC 기반의 in-situ 미세조직 거동 해석
- 집합조직 해석프로그램 활용실습 (TSL OIM))
- 날짜: 2025년 2월 20일(목)~21일(금)
- 장소: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관 566호 대강당
- 정원: 80명 (선착순 접수)
- 교육내용: 집합조직의 기초와 측정 및 응용
- 강사: 박노진(금오공대), 정효태(강릉원주대), 최시훈(순천대), 조재형(KIMS), 강전연(KIMS), 강주희(Wavesense),
전태성(인천대), 김정한(동아대), 손석수(고려대), 김민기(KITECH), 이민수(KITECH), 이명재(TSL) - 등록비: 일반 300,000원/학생 200,000원
- 신청 안내: 선착순으로 마감되었습니다.
- 주최: 대한금속·재료학회 집합조직분과
- 문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홍원표 연구원 (02-958-6807, lenhong@kist.re.kr)
인천대학교 최다인 연구원 (010-2912-0929, chlekdls0929@inu.ac.kr)
대한금속·재료학회 권은경 사원 (02-557-1071, metal@kim.or.kr)
프로그램
2월 20일(목) | ||
---|---|---|
09:30 ~ 10:00 | 등록 | 운영자 |
10:00 ~ 11:10 | 방위와 집합조직 | 조재형 |
11:10 ~ 12:20 | 매크로 집합조직 측정 (XRD, Neutron, Synchrotron) |
박노진 |
12:20 ~ 13:00 | 점심식사 | |
13:00 ~ 14:10 | 매크로 집합조직 해석 | 정효태 |
14:10 ~ 15:20 | 마이크로 집합조직 측정 | 김동익 |
15:20 ~ 15:40 | 휴식 | |
15:40 ~ 16:50 | 마이크로 집합조직 해석 | 강전연 |
16:50 ~ 18:00 | 마이크로 집합조직 응용 | 최시훈 |
18:00 ~ 18:30 | 패널 토론 | 박노진, 최시훈, 정효태, 조재형, 김동익, 강전연 |
18:30 ~ | 저녁 | |
2월 21일(금) | ||
09:10 ~ 10:20 | EBSD 시편전처리 | 강주희 |
10:20 ~ 11:30 | HR-EBSD 활용 | 전태성 |
11:30 ~ 12:50 | Luncheon Seminar (TSL OIM 프로그램 교육) | |
12:50 ~ 14:00 | 기능성 및 반도체 도금소재의 미세조직 | 김정한 |
14:00 ~ 15:10 | SEM-EBSD를 이용한 수소취성의 미시적-거시적 이해 | 손석수 |
15:10 ~ 15:25 | 휴식 | |
15:25 ~ 16:35 | DIC 기반 물성 측정 및 특성화 | 김민기 |
16:35 ~ 17:45 | DIC의 극한환경 및 멀티스케일 활용 | 이민수 |
17:45 ~ 18:15 | 패널 토론 | 강주희, 전태성, 김정한, 손석수, 김민기, 이민수, 김동익 |
찾아오시는길

- 자차 이용시: 공학관 옆 하나스퀘어 지하주차장 주차
- 지하철 이용시: 6호선 안암역 4번 출구에서 도보로 약 10분
- 더 자세한 사항은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