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Letter / 회원동정
김영근 회원 (고려대), 남기태 교수 (서울대) 공동연구팀, Science 지에 논문 게재 '나사처럼 꼬인 나노 구조로 전자의 스핀 조절 성공'
우리 학회 회장인 고려대 김영근 교수와 서울대 남기태 교수 연구팀 연구성과, ‘사이언스(Science)’지 게재
국내 연구진, 나사처럼 꼬인 나노 구조로 전자의 스핀 조절 성공
카이랄 금속 자성체 이용, 상온에서 전자 스핀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 원리 제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외부 자기장이나 극저온 장치 없이도, 전자의 스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자성(magnetic) 나노 나선**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나노구조를 이용해 스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 스핀(spin): 전자가 갖는 고유한 자기적 성질로, 양자역학적으로 ‘업(↑)’, ‘다운(↓)’ 두 상태를 가짐
** 나선(helix): 소라껍데기나 코일같이 한쪽으로 꼬인 형상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9월 5일(현지 시간 9.4.(목) 14시, 미국동부시간
* (논문명) Spin-selective transport through chiral ferromagnetic nanohelices

▲ 그림 1.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의 모식도. 연구진은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때 입자의 결정화 과정에서 카이랄 분자를 첨가하여 금속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그 꼬인 방향을 오른쪽, 왼쪽 카이랄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 그림 2. 연구팀 사진. 왼쪽부터 김영근 교수, 정은진 연구원, 전유상 박사, 남기태 교수
■ 논문 정보
* 저널명: Science
* 논문명: Spin-selective transport through chiral ferromagnetic nanohelices
* DOI: https://doi.org/10.1126/science.adx5963
■ 주요 기사(클릭 시 이동): 조선경제 , 동아사이언스 , 매일경제 , Phys.org
-출처: 과기정통부 보도자료
김영근 회원 (고려대), 남기태 교수 (서울대) 공동연구팀, Science 지에 논문 게재 '나사처럼 꼬인 나노 구조로 전자의 스핀 조절 성공'
우리 학회 회장인 고려대 김영근 교수와 서울대 남기태 교수 연구팀 연구성과, ‘사이언스(Science)’지 게재
국내 연구진, 나사처럼 꼬인 나노 구조로 전자의 스핀 조절 성공
카이랄 금속 자성체 이용, 상온에서 전자 스핀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 원리 제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외부 자기장이나 극저온 장치 없이도, 전자의 스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자성(magnetic) 나노 나선**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나노구조를 이용해 스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 스핀(spin): 전자가 갖는 고유한 자기적 성질로, 양자역학적으로 ‘업(↑)’, ‘다운(↓)’ 두 상태를 가짐
** 나선(helix): 소라껍데기나 코일같이 한쪽으로 꼬인 형상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9월 5일(현지 시간 9.4.(목) 14시, 미국동부시간
* (논문명) Spin-selective transport through chiral ferromagnetic nanohelices

▲ 그림 1.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의 모식도. 연구진은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때 입자의 결정화 과정에서 카이랄 분자를 첨가하여 금속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그 꼬인 방향을 오른쪽, 왼쪽 카이랄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 그림 2. 연구팀 사진. 왼쪽부터 김영근 교수, 정은진 연구원, 전유상 박사, 남기태 교수
■ 논문 정보
* 저널명: Science
* 논문명: Spin-selective transport through chiral ferromagnetic nanohelices
* DOI: https://doi.org/10.1126/science.adx5963
■ 주요 기사(클릭 시 이동): 조선경제 , 동아사이언스 , 매일경제 , Phys.org
-출처: 과기정통부 보도자료